인터페이스2 [JAVA] 10주차_인터페이스 구현과 타입 변환, 기본 패키지, Wrapper 클래스, java.util 패키지 (자바 스터디) 9주차 2차시 인터페이스 구현과 타입 변환 인터페이스 타입 (타입 = 형) - 인터페이스도 클래스처럼 하나의 타입이므로 변수를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선언 가능 - 인터페이스의 구현 클래스는 그 인터페이스의 자식 타입 - 인터페이스 타입 변수가 구현 객체를 참조한다면 강제 타입 변환 가능 타입 변환과 다형성 interface Movable { //인터페이스 Movable void move(int x); //추상 메서드 (구현부가 없으니까!) } class Car implements Movable { //인터페이스 Movable을 구현한 Car 클래스 (Car는 구현 객체) private int pos = 0; //필드 public void move(int x) { //추상 메서드 구현 pos += x; } .. 2022. 5. 7. [JAVA] 9주차_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, 인터페이스의 상속, 인터페이스 구현과 타입 변환 1차시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추상 메서드: - 메서드 본체를 완성하지 못한 메서드. 무엇을 할지는 선언할 수 있지만, 어떻게 할지는 정의할 수 없다. - 완성하지 못한 = 추상화 했다 - 굳이 구현부를 만들지 않고 상속받은 곳에서 구현하도록 한다. 추상 클래스: - 보통 하나 이상의 추상 메서드를 포함하지만 없을 수도 있다. - 주로 상속 계층에서 자식 멤버의 이름을 통일하기 위하여 사용 - 추상 클래스는 객체 생성 불가능! /* 추상 클래스와 메서드 선언 방법 */ abstract class 클래스이름 { //추상 클래스 선언 //필드 //생성자 //메서드 } absract 반환타입 메서드이름() ; //추상 메서드 선언 //추상 메서드에는 {}, 즉 메서드 구현부가 없다. /* 추상 메서드를 포함.. 2022. 5. 1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