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Network/네트워크 이해7

[Network] 응용 계층, 무선 LAN 응용 계층 개요 -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-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서비스를 통신 대상인 서버가 인식할 수 있게끔 데이터(메시지)를 변환하는 계층 -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: DHCP, DNS, HTTP, SMTP, POP3, IMAP, SNMP, FTP - 데이터 단위: 메시지 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* TCP/IP 설정 항목 - IP 주소 - 서브넷 마스크 - 기본 게이트웨이 - DNS 서버 IP 주소 * IP 주소 할당 방법 1) 정적 할당: 수동 설정 2) 동적 할당: 자동 주소 설정 / DHCP * DHCP -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기본 게이트웨이 등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토콜 - DHCP는 사용자(클라이언트)에게 IP주.. 2022. 11. 6.
[Network] 전송 계층 TCP 세그먼트 TCP 헤더 - 세그먼트: 전송 계층에서의 PDU(프로토콜 데이터 단위) - TCP 세그먼트: 응용 계층의 데이터에서 TCP 헤더를 붙여 캡슐화한 것 /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은 패킷에서 IP헤더를 떼어내는 역캡슐화를 거친 것 -> 캡슐화 시 TCP 헤더 부착, 역캡슐화 시 TCP 헤더 제거 - 전송계층에서의 핵심이 되는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은 신뢰성과 정확성이 특징! * TCP 헤더의 구조 (TCP 세그먼트의 핵심) - TCP 헤더는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. - 출발지 포트 번호나 목적지 포트 번호는 직관적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, 각각 출발지(혹은 목적지) 응용 프로세스의 포트 번호 / 포트 .. 2022. 10. 29.
[Network] 네트워크 계층(OSPF, NAT, ARP, ICMP), 전송 계층 개요 OSPF - 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 - 가장 많이 사용하는 IGP(AS '내에서' 라우팅을 수행하는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) - 링크 상태 알고리즘 및 광고 기법 사용 - Dijkstra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경로 계산 : 특정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알려준다. - 신속한 경로 갱신 - 라우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영역 단위로 나누어서 관리 - AS(Autonomous System)내에 여러 개의영역으로 나눈 다음, 내부의 라우터들끼리 각 영역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. - 여러 영역 중 백본 영역은 그림과 같이 다른 AS와 연결을 담당한다. - AS 안에 존재하는 라우터에는 경계 라우터, 백본 라우터, 영역 경.. 2022. 10. 10.
[Network]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- 서브넷 마스크 - 한 기관이 많은 호스트를 가지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IP 주소가 낭비되는 문제 발생, 많은 컴퓨터가 한꺼번에 패킷을 전송하면 네트워크가 매우 혼잡해진다. - 너무 많은 IP 주소들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바로 '서브넷팅(subnetting)' 기술 * 서브넷팅, 서브넷 마스크 - 전체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값 설정 - 서브넷팅: IP 주소를 클래스로 구분하는 방법,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 - 서브넷: 분할된 네트워크 - 분할된 서브넷에 대한 주소인 '서브넷 주소'도 필요 - 서브넷 마스크: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 (분할된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어려움) -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ID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두.. 2022. 10. 3.
[Network] 데이터링크 계층,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- 이더넷 프레임, 이더넷 헤더 - OSI 모델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캡슐화 과정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인다. 이 데이터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칭한다. - 이더넷 프레임의 이더넷 헤더는 목적지 MAC 주소, 출발지 MAC 주소, 타입 등의 정보가 들어간다. - 트레일러는 FCS(Frame Check Sequence)로 오류가 발생하는지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. -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붙으면서 캡슐화된 데이터를 '프레임'이라고 부른다. - 이 프레임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이더넷 헤더 속의 출발지 MAC 즉, 도착지 MAC 주소를 참조한다. - 타입 코드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종류를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. - 자주 사용하는 이더넷 헤더의 타입 코드는 IPv4(0x0800).. 2022. 9. 26.
[Network] 네트워크 개요, 물리 계층, 데이터링크 계층 캡슐화, 역캡슐화 - 데이터를 상위/하위의 특정 계층으로 보낼 때마다 필요한 정보들이 있다. 캡슐화, 역캡슐화는 데이터를 상위 혹은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발생 - 헤더: 데이터를 캡슐화할 때, 데이터 앞에 덧붙여지는 부가정보 (목적지 정보, 출발지 정보, 에러 체크 등 필요한 정보) - 헤더를 붙여나가는 것이 캡슐화(Encapsulation), 헤더를 제거하는 것이 역캡슐화(Decapsulation) - 헤더에는 목적지 IP주소, 혹은 출발지 IP주소 같은 필요한 정보를 담는다. 이 헤더를 붙이기도 하고 떼어내기도 하면서 계층간 데이터들을 보내게 된다. - 송신 측에서 가장 가까운 계층은 응용 계층으로 만약 누군가에게 데이터를 보내고자 한다면 캡슐화를 통해서 물리 계층을 거쳐 테이블에 전기 신호.. 2022. 9. 19.
[Network] 네트워크 개요 Protocol (프로토콜) - 컴퓨터 통신의 과정에서 대화할 때 특정 언어 체계가 필요해서 컴퓨터 통신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디자인인 '네트워크 아키텍처'를 이용 - 프로토콜: 통신에 필요한 형식, 약속, 규약, 규칙들을 정의한 것 - 프로토콜 여러 개가 모여서 조합하면 하나의 컴퓨터 네트워크 디자인인 '네트워크 아키텍처'가 된다. - 네트워크의 각 계층마다 주요 프로토콜이 있다. 사설 네트워크,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: 접속하는 사용자를 제한 O - 가정 내 네트워크, 사내 네트워크 등 - 사설 IP 사용 공용(인터넷) 네트워크: 접속하는 사용자를 제한 X -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- 공인(공용) IP 사용 -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인 IP 주소가 필요, 공인 IP .. 2022. 9. 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