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Network/네트워크 이해

[Network] 응용 계층, 무선 LAN

by 8희 2022. 11. 6.

응용 계층 개요

-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

-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서비스를 통신 대상인 서버가 인식할 수 있게끔 데이터(메시지)를 변환하는 계층

-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: DHCP, DNS, HTTP, SMTP, POP3, IMAP, SNMP, FTP

- 데이터 단위: 메시지

 


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
* TCP/IP 설정 항목

- IP 주소

- 서브넷 마스크

- 기본 게이트웨이

- DNS 서버 IP 주소

 

* IP 주소 할당 방법

1) 정적 할당: 수동 설정

2) 동적 할당: 자동 주소 설정 / DHCP

 

* DHCP

-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기본 게이트웨이 등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토콜

- DHCP는 사용자(클라이언트)에게 IP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기본 게이트웨이, DNS 주소를 할당하여 사용자가 직접 할당하지 않아도 되게끔 한다. 

- 브로캐스트 이용

 

- DHCP의 동작을 임대 요청, 임대 제공, 임대 선택, 임대 확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. 

1) DHCP Discover (임대 요청):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가 있는지 물어본다. 있다면 사용할 수 있는 TCP/IP 설정을 묻는다. 

2) DHCP Offer (임대 제공): 요청을 받은 DHCP 서버는 사용할 수 있는 TCP/IP 설정을 응답으로 보낸다. 여러 개의 DHCP 서버에게 응답이 왔다면, 가장 먼저 도착한 응답 메세지를 선택한다. 

3) DHCP Request (임대 선택): 응답을 받은 DHCP  클라이언트는 그 설정을 사용하게 해달라는 요청 REQUEST를 보낸다.

4) DHCP Ack(임대 확인): 마지막으로 DHCP 서버에서 확인 응답을 보내면서 IP 주소 할당 과정 종료

 


DNS

- DNS: 이름 해석(name resolution, 도메인 이름을 기반으로 IP 주소를 알아내는 것) 역할을 하는 것

- 정방향 조회: 도메인 이름으로 호스트 IP 주소를 얻는 조회 방법

- 역방향 조회: 호스트 IP 주소로 도메인 이름을 얻는 조회 방법

- 일반적으로는 정방향 조회를 대부분 사용

 

* DNS 계층 구조

- DNS는 호스트를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 공간이라는 계층 구조를 가진다.

- 맨 윗층의 최상위 도메인은 Top Level Domain으로 TLD라 부른다. 

- 그 아래 하위에는 서브 도메인이 있고, 주로 TLD에 등록 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의 이름을 나타낸다. - 또 아래 호스트 이름은 특정 호스트의 이름을 지칭한다. 

 

- DNS는 다른 분류 기준으로 각각 역방향 도메인, 일반 도메인, 국가 도메인으로 나눌 수 있다.

 

* DNS의 질의 방식

1) 재귀적 질의

- 실제 IP 주소를 응답할 수 있는 서버까지 거슬러 올라가 응답을 얻어 오는 방식

-> 클라이언트는 Local DNS 서버를 통해 Root DNS 서버에 요청

-> 루트 서버는 해당 IP 주소가 자신의 서버에 등록되었는지 검사 

-> 만약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층 서버인 TLD DNS 서버에 질의 

-> TLD DNS 서버에서도 자신의 서버에 해당 IP 주소가 등록되었는지 검사 

->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또 아래 층 서버에 질의

 

2) 반복적 질의

- 최종적인 IP 주소를 받을 때까지 요청과 응답을 계속하는 방식

 


HTTP (HyperText  Transfer Protocol)

- HTTP: 웹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요청하고 응답하기 위한 프로토콜 

- HTTP를 통해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HTML 파일을 전송하며 HTTP 파일 전송은 HTTP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으며 이루어진다. 

- 기본적으로 HTTP는 TCP 80번 포트를 이용하여 요청과 응답 메시지를 교환

 

* URL

- 웹 브라우저에서의 데이터 전송 간에 필요

- https: 보안 프로토콜, 브라우저가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부분

- 호스트 이름: 어떤 웹 서버를 필요로 하는지 나타낸다. 

- 호스트 이름 뒤에는 경로 명을 나타낸다. 

 

* HTTP 리퀘스트

- HTTP 리퀘스트는 리퀘스트 라인, 메시지 헤더, 엔티티 바디 등의 부분으로 나뉜다. 

- 리퀘스트 라인은 메소드(서버에 대한 요청), 공백, URI, HTTP 버전으로 표기

 

- 리퀘스트 라인에서 메소드는 서버에 대한 요청을 의미한다

- 가장 자주 사용되는 주요 HTTP 메소드는 GET으로 특정 URL을 입력하여 특정 웹사이트를 보고자 할 때 GET 메소드의 HTTP 요청을 웹 서버로 보내게 된다. 

 

* HTTP 리스폰스

- HTTP 리스폰스는 리스폰스 라인, 메시지 헤더, 엔티티 바디 등의 부분으로 나뉜다.

 

- 리스폰스 라인은 버전, 상태 코드 설명문으로 표기할 수 있다.

- 상태 코드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웹 서버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 세 자리 숫자

 


쿠키

- 웹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웹브라우저에 특정 정보를 저장해 두는 기술

- HTTP 쿠키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때 로그인 정보, 웹페이지 열람 이력, 쇼핑몰 상품 열람 기록, 장바구니 정보 등등을 기록할 수 있다.

 

 

- 웹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하여 HTTP 응답에 쿠키를 포함하여 보낸다. 이때 쿠키 정보는 HTTP Set-Cookie 헤더에 포함된다.

- 웹 브라우저에서 쿠키를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한 상태라면 쿠키를 저장한다.

- 이 뒤로 같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웹 서버에서 HTTP 요청을 보낼 때 저장된 쿠키도 같이 전송된다.

 


프록시 서버

- 웹 서버 접속을 대신해 주는 서버

- 프록시 서버 접속 시 포트는 주로 8080

- 웹페이지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웹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이 필요한데, 이 사이에 웹사이트 접속을 대행하는 프록시 서버를 거칠 수 있다.

- 웹브라우저가 프록시 서버를 통해서 웹 서버에 접속하게끔 하는 것이다.

- 프록시 서버는 말 그대로 대리 서버로 웹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HTTP요청과 응답이 순환된다.

 

* 프록시 서버 목적

- 기업 입장에서 사용자의 이용 파악 및 검사

- 유해 사이트 차단

- 이외에도 익명으로 PC 사용이나 다른 보안상의 목적 등

 


무선 LAN

 

 

- 무선 LAN: 유선케이블 없이 LAN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

- 케이블 없이 간편하게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 무선 랜이 개발

-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 배선이 꼬일 일이 없어 편리

- 무선 방식은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며 전파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.

- 보안상의 위험이 높다.

 

* 무선 LAN 구성

-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(WAP)와 무선 랜 클라이언트로 구성

- WAP를 유선 이더넷에 연결함으로써 무선 클라이언트들이 유선 이더넷의 서버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.

 

* 무선 LAN 연결 방식

1) 인프라스트럭처 방식: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기기 장치들이 무선 랜 액세스 포인터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식

2) 애드혹 방식: 기반이 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없어도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

 

* 주요 무선 LAN 규격